Ethernet 버전 1/2 차이

1. Ethernet II (a.k.a. DIX Ethernet)

  • 출처: DEC–Intel–Xerox가 1980년에 정의 → 그래서 DIX Ethernet이라 부릅니다.
  • 헤더 구조
    • Dest MAC (6B)
    • Src MAC (6B)
    • EtherType (2B) → 상위 프로토콜 지정 (0x0800=IPv4, 0x86DD=IPv6, 0x0806=ARP 등)
  • 장점: 상위 프로토콜을 직접 지정할 수 있어, IP 프로토콜과의 결합이 단순합니다.
  • 현재 IP 네트워크에서 사실상 표준: 대부분의 IPv4/IPv6 패킷은 Ethernet II 프레임으로 캡슐화됩니다.

2. IEEE 802.3 Ethernet (원래 표준)

  • 출처: 1983년 IEEE 802.3 위원회에서 제정
  • 헤더 구조
    • Dest MAC (6B)
    • Src MAC (6B)
    • Length (2B) → MAC 데이터 필드의 길이 (46–1500 바이트)
  • 프로토콜 식별 문제: EtherType 대신 Length가 들어가므로,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알 수 없음.
  • → 따라서 IEEE 802.2 LLC (Logical Link Control) 헤더를 바로 뒤에 붙여서 상위 프로토콜을 구분합니다.
    • LLC: DSAP, SSAP, Control 필드 (보통 3B)
    • 경우에 따라 SNAP 헤더(5B)를 추가해 EtherType을 다시 싣기도 함.

3. 차이 요약

구분Ethernet II (DIX)IEEE 802.3
2바이트 필드 의미EtherType = 상위 프로토콜 번호Length = 페이로드 길이
상위 프로토콜 구분EtherType 값으로 직접LLC/SNAP 헤더 필요
주 사용처IPv4, IPv6, ARP → 사실상 전세계 인터넷 표준과거 IBM/Novell 등 일부 전용망, 802.2 기반 프로토콜
최대 페이로드1500B (MTU 기준)1500B (같음)
오늘날 비중압도적 다수일부 산업용/레거시

4. 실제 구분 방법

  • MAC 헤더의 2바이트 값0x0600(1536) 이상이면 EtherType 으로 해석 → Ethernet II
  • 1500 이하 값이면 Length → IEEE 802.3
  • 예: 0x0800(IPv4), 0x86DD(IPv6) → Ethernet II
  • 예: 0x05DC (1500) 이하 → 802.3 + LLC

정리:

  • Ethernet II = 사실상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“이더넷” (IP 패킷용 표준)
  • IEEE 802.3 = 원래 표준이었으나, IP 계열에서는 EtherType 방식이 간단해서 Ethernet II가 자리잡음.
  • 현재 스니퍼(Wireshark 등)에서 잡히는 IP 패킷 대부분은 Ethernet II 프레임입니다.

Previous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